
1. 사업의 개요
당사는 쿼츠, 세라믹, 램프, 세정 및 쿼츠원재료 부문의 5개 부문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쿼츠부문은 당기말 기준 해외 4개(미국1, 대만1, 독일1, 태국1)의 종속기업을 포함하고 있으며, 쿼츠원재료 부문은 당기말 기준 해외 9개(미국2, 대만1, 독일1, 일본2, 중국2, 한국1), 세정 및 코팅부문은 3개(미국2, 중국1)의 종속기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사업 부문별 주요제품]
부문
|
영업 분야
|
주요 제품
|
쿼 츠
|
반도체
|
Tube, Boat, Pedestal, SWP, Ring, Bath, Robot Chuck Guide
Ingot, Crucible, Boule
|
디스플레이
|
Upper&Lower Dome, Susceptor support shaft
|
|
태양광
|
Solar Boat, Bath, Torch Chamber, Horizontal Tube
|
|
기타
|
Fiber Optics
|
|
세라믹
|
반도체
|
ROBOT ARM, 웨이퍼 장착 RING,절연 INSULATOR
|
디스플레이
|
고강도 PLATE 및 SHAFT, 절연 INSULATOR PLATE
|
|
발전소
|
LINER, BOAT, CRUCIBLE, SETTER, SAGGER
|
|
램 프
|
디스플레이
|
Excimer UV Lamp
|
세 정
및
코 팅
|
반도체
세정
|
Diffusion: Quartz, SiC
Ion Implantation : Source head,Manipulator,Bushing,
Photolithography: Bowl
Etch: Upper liner,Lower liner,Electrode
|
반도체
코팅
|
APS - Etch Liner kit / Electrode
PVD - Etch Top Parts
Anodizing - Etch Liner kit / Diffusion 가스 공급 부품
|
(*) 부문별 사업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7. 기타 참고사항'의 '나. 사업부문별 현황'과 '다. 사업부문별 요약 재무현황' 항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
가. 주요 제품 매출
2023년 제품별 매출액 및 매출 비중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
사업부문
|
매출 유형
|
소재지
|
품 목
|
구체적 용도
|
매출액
|
매출비율
|
쿼 츠
|
원재료
제품 및 기타 매출
|
한국
|
QUARTZ WARE
|
반도체용 석영유리
|
187,251
|
23.2%
|
대만
|
QUARTZ WARE
|
반도체용 석영유리
|
44,487
|
5.5%
|
||
미국
|
QUARTZ WARE
|
반도체용 석영유리
|
17,122
|
2.1%
|
||
독일
|
QUARTZ WARE
|
SOLAR 등 석영유리
|
26,887
|
3.3%
|
||
미국
|
QUARTZ BASE MATERIALS
|
반도체용 석영유리 등
|
469,885
|
58.3%
|
||
세라믹스
|
제품 및 기타 매출
|
한국
|
세라믹스외
|
LCD 등 부품
|
18,955
|
2.4%
|
세 정
|
세정 및 상품 매출
|
한국
|
세정 및 코팅
|
반도체용
소재/장비부품
세정 및 코팅
|
75,609
|
9.4%
|
미국
|
세정
|
0
|
0.0%
|
|||
중국
|
세정
|
9,886
|
1.2%
|
|||
기 타
|
제품 매출
|
한국
|
기타
|
기타
|
5,040
|
0.6%
|
내부매출액 제거 금액
|
-49,174
|
-6.1%
|
||||
합 계
|
805,948
|
100.0%
|
4. 매출 및 수주상황
가. 매출실적
(단위: 백만원)
|
사업부문
|
매출유형
|
품목
|
매출구분
|
제 21기
|
제 20기
|
제19기
|
쿼츠
|
제품 및 기타 매출
|
반도체용 석영유리
|
수출
|
498,336
|
405,327
|
324,677
|
내수
|
247,296
|
305,216
|
225,362
|
|||
합계
|
745,632
|
710,543
|
550,039
|
|||
세라믹스
|
제품 및 기타 매출
|
반도체/디스플레이용 세라믹
|
수출
|
2,042
|
2,512
|
8046
|
내수
|
16,913
|
25,078
|
17,206
|
|||
합계
|
18,955
|
27,590
|
25,252
|
|||
세정
|
제품 및 용역매출
|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 및 장비부품 등
세정 및 코팅
|
수출
|
1,091
|
3,226
|
10,187
|
내수
|
84,404
|
87,878
|
64,922
|
|||
합계
|
85,495
|
91,104
|
75,109
|
|||
기타
|
제품 및 기타매출
|
기타
(반도체/디스플레이
/메디컬용 램프 등)
|
수출
|
2,429
|
1,356
|
1923
|
내수
|
2,611
|
2,802
|
882
|
|||
합계
|
5,040
|
4,158
|
2,805
|
|||
합 계
|
수출
|
503,898
|
412,422
|
344,833
|
||
내수
|
351,224
|
420,974
|
308,372
|
|||
합계
|
855,122
|
833,396
|
653,205
|
|||
내부 매출 제거금액
|
(49,174)
|
(50,217)
|
(29,086)
|
|||
합 계
|
805,948
|
783,179
|
624,119
|
나. 사업부문별 현황
[쿼츠 부문 및 쿼츠 원재료 부문]
(산업의 특성 등)
① 쿼츠웨어의 정의
반도체용 석영유리(Quartz Ware 혹은 Fabricated Quartz)는 반도체 제조공정 중 산화, 확산, 식각, 이온주입, 화학증착공정에서 Wafer를 불순물로 부터 보호하거나 이송하는 용기로 사용됩니다.
② 산업의 특성
쿼츠웨어의 주 사용처인 반도체산업은 기술혁신 속도가 빠르고 투자규모가 매우 크기 때문에 투자시점을 결정 하기가 매우 힘든 반면에 적시투자는 많은 이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국내소자업체는 반도체 생산량 증대와 고집적화를 위해 300mm 웨이퍼를 이용한 반도체 공정라인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현재에는 기술혁신에 따라 동일시설을 가지고 수율향상 및 공정시간을 단축하여 단위 웨이퍼당 생산량을 높임으로써 기존 설비 효율 증대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속한 반도체재료 산업수요의 특성은 소자 생산량에 비례하므로 소자산업경기에 의존적입니다. 반면, 양산 단계에서는 재료 사용량을 절감하는 방향으로 공정기술이 진전되기 때문에 성장률은 소자 산업을 하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반도체재료는 반도체 제조 비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5% 내외에 불과 하지만, 직접도나 수율에 미치는 영향은 커 소자업체가 원재료 구매선을 쉽게 교체하기가 어렵습니다.
반도체재료의 원재료는 미국과 일본 및 독일을 중심으로 한 소수업체가 전체시장을 과점하고 있습니다. 이는 반도체재료가 고순도와 고정밀도를 요구하기 때문에 높은 수준의 화학기술과 대규모 설비가 필요하고, 소자의 집적도 향상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3-4년 마다 신제품 개발을 위한 연구 개발 투자가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반면 소자업체별로 요구하는 재료의 특성이 조금씩 다르고, 물성변화가 잦아 중소/중견기업체를 주축으로 한 로컬업체의 참여가 가능합니다.
③ 산업의 성장성 및 경기변동의 특성
반도체용 QUARTZ WARE는 반도체 제조 공정별로 Life Cycle이 1개월~36개월의다양한 소모품으로서 Wafer의 생산량 및 신규 생산라인 증설에 의하여 수요가 결정되며 시장규모는 반도체 산업의 발전에 따라 향후 증가될 것으로 추정됩니다.
(국내외 시장여건 등)
쿼츠 사업부문(쿼츠 원재료 부문 포함)은 2023년 글로벌 반도체 고객사의 투자 및 가동률 감소하였으며, 매출은 전년대비 연결기준 5.4%증가, 별도기준 23.3% 감소하였습니다. 연결기준 매출의 증가는 2022년 11월에 인수한 일본의 Coorstek Nagasaki Corporation의 편입효과에 기인합니다. 영업이익은 연결기준 21.1%, 별도기준 68.3% 감소하였습니다. 24년도의 경우 반도체 고객사 재고부담 일부 해소 및 AI반도체 수요 강세에 따른 관련 반도체 분야 수요의 증가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① 2024년 세계반도체 시장 전망
|
wsts global semiconductor billings
|
출처: World Semiconductor Trade Statistics(2023년 11월 28일 발간자료)
|
2023년 반도체 시장 규모는 전년대비 9.4%감소한 5,201억달러로 예상되며, 2024년에는 전년대비 13.1% 성장한 5,887억 달러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② 시장점유율
시장점유율의 경우, 시장에 공식화된 자료가 없어 기재를 생략하였습니다.
(경쟁요소 등)
당사의 쿼츠사업부문은 세계 유수 장비사와의 연계 된 사업 구축으로 안정화 되어있고, 주요 고객으로부터의 높은 평가 및 인지도를 가지고 있으며, 대량 생산화 및 고객요구에 기술 우위를 가지고 빠르고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여 글로벌 경쟁에서도 우위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쿼츠부문 자회사 현황)
자회사명 : W.Q.I.(미국), W.Q.T.(대만), W.Q.E.(독일),
① 자회사의 영업현황
1) W.Q.I. (미국)
미국법인인 W.Q.I.는 1997년 10월 미국 원익쿼츠 합작법인(WONIK QUARTZ GROUP CO.,LTD.)을 설립하여 영업을 개시하였고, 2005년 9월 W.I.Q.I. 미국법인을 설립 후, 프랑스 Saint-Gobain社의 QI사업부를 인수하였으며, 주로 반도체석영유리제품을 INTEL과 MICRON 등 반도체 소자업체에 영업 및 상품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2) W.Q.T. (대만)
대만법인인 W.Q.T.는 1996년 3월 대만 원익석영 합작법인(WONIK TAIWAN QUARTZ CO.,LTD)을 설립하여 영업을 개시하였으며, 사명을 WONIK QUARTZ TAIWAN CO.,LTD로 변경하였습니다. 주 생산품은 반도체석영유리제품을 생산하며 TSMC와 UMC 등 반도체 소자업체에 영업 및 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W.Q.T의 종속회사>
종속회사명
|
설립일
|
지역
|
주요사업
|
WONIK Q&C (THAILAND) CO., LTD.
|
2018.05.16
|
태국
|
부동산 임대업
|
3) W.Q.E. (독일)
독일법인인 W.Q.E.는 독일 원익 유럽법인(WONIK QUARTZ EUROPE GMBH)을 설립하여 영업을 개시 하였습니다. 주 생산품은 반도체, SOLAR 등 석영유리제품을 생산하며 ST MICRO와 ASM 등 SOLAR 관련업체에 영업 및 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② 자회사의 영업실적(2023년)
(단위 : 천원)
|
자회사명
|
소재지
|
자산
|
부채
|
매출
|
영업이익
|
W.Q.T(*1)
|
대만
|
94,319,664
|
29,392,288
|
44,486,549
|
5,240,773
|
W.Q.E
|
독일
|
15,425,795
|
4,860,332
|
26,886,968
|
859,577
|
W.Q.I
|
미국
|
11,187,663
|
2,913,179
|
17,121,964
|
1,301,673
|
원익우시(*2)
|
중국
|
-
|
-
|
-
|
-199,865
|
(*1)
|
W.Q.T.의 종속회사인 WONIK QnC Thailand의 실적을 포함한 자료입니다.
|
(*2)
|
당기중 특수관계인이 아닌 상대방에게 매각 완료하였습니다
|
(*3)
|
상기 금액은 내부거래 제거전 금액입니다.
|
[쿼츠원재료부문 자회사 현황]
자회사명 : MOMQ Holding Company(미국)
① 자회사의 영업현황
당사는 2019년 5월 미국의 쿼츠/실리콘 원재료 제조사인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이하 "모멘티브")사의 쿼츠사업부문을 인수하기 위해 특수목적법인인 MOMQ Holding Company를 설립하였으며, 최종으로 2020년 1월 1일 모멘티브의 쿼츠사업부문 양수가 완료되었으며, 2022년 11월 1일 일본의 반도체용 석영도가니(Quartz Crucible)전문 제조업체인 Coorstek Nagasaki Corporation을 최종인수하였습니다. 특수목적법인의 영업실적 및 종속회사는 다음과 같습니다.
<MOMQ의 종속회사>
종속회사명
|
설립일
|
지역
|
주요사업
|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Quartz Inc.
|
1996.08.02
|
미국
|
반도체용 쿼츠 원재료 제조
반도체/디스플레이/항공우주용
세라믹 원재료/제품 제조
|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Quartz GmbH
|
1987.11.24
|
독일
|
반도체용 쿼츠 원재료 제조
|
Momentive Quartz Japan G.K.
|
2019.10.07
|
일본
|
반도체/디스플레이/항공우주용
세라믹 원재료/제품 제조
|
Momentive Technologies
Wuxi Co., Ltd.(*2)
|
2004.01.18
|
중국
|
반도체용 쿼츠 원재료 제조
|
모멘티브테크놀로지스코리아
유한회사
|
2021.03.10
|
한국
|
반도체용 쿼츠 원재료 도소매
|
Momentive Technologies
(Shanghai) Limited Company
|
2021.03.30
|
중국
|
반도체용 쿼츠 원재료 도소매
|
Momentive Technologies
Taiwan Limited Company
|
2022.03.09
|
대만
|
반도체용 쿼츠 원재료 도소매
|
Momentive Technologies
Yamagata K.K.(*1)
|
2015.07.31
|
일본
|
반도체 웨이퍼 제조용
Cruicible 제조 및 판매
|
(*1)
|
2022년 11월 1일 인수한 Coorstek Nagasaki Corporation의 사명을 변경하였습니다.
|
(*2)
|
당기중 Wuxi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Co., Ltd의 사명을 변경하였습니다.
|
② 자회사의 영업실적(2023년)
(단위 : 천원)
|
자회사명
|
소재지
|
자산
|
부채
|
매출
|
영업이익
|
MOMQ
|
미국
|
764,616,400
|
590,108,829
|
469,884,921
|
59,275,899
|
(*1)
|
MOMQ의 종속회사인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Quartz Inc.,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Quartz GmbH, Momentive Quartz Japan G.K.,
Momentive Technologies Wuxi Co., Ltd.. Momentive Technologies (Shanghai) Limited Company, Momentive Technologies Taiwan Limited Company,모멘티브테크놀로지스코리아 유한회사, Momentive Technologies Yamagata K.K.의 실적을 포함한 자료입니다.
|
(*2)
|
상기금액은 내부거래 제거전 금액입니다.
|
[세라믹 부문]
(산업의 특성 등)
① 세라믹스의 정의
세라믹은 천연원료를 이용한 도자기, 타일, 내화물, 시멘트, 유리등의 전통세라믹과 정제된 고순도 합성원료로 제조되는 전자/구조/바이오/환경세라믹을 일컫는 첨단세라믹이 있습니다. 당사가 주로 생산하는 세라믹스는 비금속 무기재료를 원료로 사용하고, 제조공정에 있어서 고온처리를 받은 생산물로써 반도체/디스플레이 공정에서 내용물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② 산업의 특성
당사가 속한 ICT분야의 첨단세라믹 소재/부품 제조산업은 분말형상의 첨단세라믹원료소재를 유무기 바인더 등과 혼합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한 후 탈지 및 소결공정을 통한 치밀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이러한 공정을 통해 얻어지는 첨단세라믹 소재·부품은 스마트폰, LCD/OLED, 센서 등 대부분의 ICT 기기에 활용되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4차 산업혁명으로의 전방위적 패러다임 전환에 따른 IoT, 3D프린팅, 자율주행차, 로봇 등의 산업에 필수적인 첨단세라믹 소재부품 기술개발에 R&D 자원이 집중되고 있으며, 당사가 집중하고 있는 반도체용 고성능 세라믹(Semiconductor High-Performance Ceramics) 산업의 세계시장은 연평균(2023년~2029년 추정) 8.7% 성장률로 2022년 10.4억달러에서 2029년 17.1억달러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는 산업이지만(출처: QY research 코리아, 제목: 반도체 고성능 세라믹 (Semiconductor High Performance Ceramics) 시장보고서, 2023년 11월 28일 발간자료), 이미 기존의 수입 원료소재에 맞게 매뉴얼화 된 공정에 비해 다른 공법에 의해 제조된 원료로는 제품의 수축율 조정 등 신뢰성을 확보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어, 후발주자인 국내 첨단세라믹 원료소재 산업회사들의 진출에는 많은 제약이 있습니다. 하지만 국내 대형 거래처들의 국산화 수요가 풍부하기 때문에 신규 ICT용 세라믹 부품의 개발과정의 시작 단계부터 참여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습니다.
③ 산업의 성장성 및 경기변동의 특성
국내 첨단세라믹산업은 글로벌 기술 및 산업환경 변화의 가속화에 따른 융복합 기술 수요가 급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질화물계 세라믹, 산화물계 세라믹 등 당사가 속한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에 사용되는 핵심 세라믹 원료소재를 일본 등 선진국으로부터 수입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EUV용 반도체, 차세대 이차천지, 바이오 산업등 미래 먹거리인 신산업 시장이 확대되고 있으며 관련된 수요 해결을 위한 도전적인 연구개발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당사가 속해있는 반도체/디스플레이용 세라믹스는 제조 공정별로 Life Cycle이 6개월 이상의 다양한 소모품으로서 Wafer/Panel 생산량 및 신규 생산라인 증설에의하여 수요가 결정되며, 당사는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전기전자 산업의 초고집적화, 고효율화용 핵심 세라믹소재의 소재/부품 자립화를 위한 요소기술 및 상용화 기술개발에 집중하여 경쟁력을 제고하고있습니다.
(국내외 시장여건 등)
세라믹 사업부문은 디스플레이 업황 불황 지속과, 반도체 소재수요 감소로 매출은 전년대비 31.3%, 영업이익은 적자전환하였습니다. 2024년도에도 지속적인 국산화 제품 출시를 통한 매출 및 이익 확대를 노력하고 있습니다.
④시장점유율
세라믹 제품의 시장점유율은 다양한 품목으로 인하여 회사별 비교가 어렵고, 시장에 공식적인 자료가 없어 기재를 생략하였습니다.
(경쟁요소 등)
당사는 대형사이즈 제품 생산기술 및 제조설비를 보유하고 있어, 산업전반에 걸친 다양한 제품 생산이 가능하며, 특히 최근 디스플레이 패널의 대형화 추세에 따른 대형제품의 공급이 가능합니다. 당사는 독립된 기술연구소 운영으로 다양한 소재의 개발 및 제조가 가능하며, 첨단세라믹과 관련된 타 사업부와의 신제품 개발 및 국산화도 적극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반도체 제조사 및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사와의긴밀한 협력뿐만이 아니라 관련 장비제조업체들과의 전략적 협업관계 구축으로 향후성장성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세정 및 코팅부문]
(산업의 특성 등)
① 세정공정의 정의
반도체소재부품 또는 반도체장비의 오염을 제거하고 재생하는 공정으로써 주로 반도체 공정에서 사용되는 쿼츠웨어 등의 소모성 부품에 발생하는 미세오염을 제거 또는 재생하여 장비나 부품의 오염의 제거뿐만 아니라 반도체 생산수율 및 공정효율을 증가 시킬 수 있습니다.
② 산업의 특성
당사가 영위하는 세정 및 코팅산업은 기본적으로 반도체 생산과정에서 발생된 오염을 제거하는 산업으로 장비나 부품의 오염을 제거/재생하는 것 뿐만 아니라 재사용조건을 만족시키고 사용수명을 연장시켜 공정효율성과 생산수율을 증가를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최근 반도체 제조 업체들의 원가절감 추세로 인하여 반도체 소모성 부품 세정공정의 외주화가 지속되고 있으며, 반도체 공정 장비에 장착하는 쿼츠, 세라믹 등의 사용수명을 늘리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③ 산업의 성장성 및 경기변동의 특성
반도체 세정 및 코팅사업은 반도체 공장가동률에 따라 수요가 반응하며, 공장가동률이 높을수록 소모성 부품의 사용빈도가 높아져 세정 수요가 증가합니다. 향후 시장규모는 반도체 산업 발전에 따른 제조사들의 투자와 함께 증가될 것으로 추정됩니다.
(국내외 시장여건 등)
세정 및 코팅사업부문은 전세계적인 반도체 고객사 재고증가에 따른 가동률 하락으로 2023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5.7% , 영업이익은 가동률 하락에 따른 고정성 비용의 상대적 증가로 인하여 40.4% 감소하였습니다. 별도기준 매출액은 4.5% , 영업이익은 48.8% 감소하였습니다. 2024년은 고객사 가동률 일부 상승 및 신규아이템 지속 제안을 통한 매출 및 이익향상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경쟁요소 등)
당사는 자동화 최첨단 세정설비 구축을 통한 원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뛰어난관리능력과 원가절감 효과로 고객사의 인정을 받고 있습니다. 최근 반도체 공정 미세화에 따른 반도체 제조용 소재부품의 사용이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반도체 고객사들의 원가절감 수요가 더욱 강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당사는 독립된 기술연구소를 운영하면서, 세정 및 코팅관련 다양한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신규아이템 개발을 통하여 고객사의 원가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돕고, 시장지배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세정부문 자회사 현황)
자회사명 : 원익(서안)반도체과기유한공사(중국)
WONIK QnC America(미국)
Deposition Technology(미국)
① 자회사의 영업현황
원익(서안)반도체과기유한공사(중국)(이하"원익서안")
원익서안은 2013년 2월 20일 당사의 계열회사인 (주)원익머트리얼즈와 당사가 70:30으로 출자하여 설립하였고, 2017년 추가 증자를 거쳐 2018년 12월에 당사가 (주)원익머트리얼즈의 지분 전체를 인수하여 당사의 100% 자회사로 편입하였습니다. 원익서안은 반도체 공정에서 사용되는 소모성 부품 및 장비부품세정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WONIK QnC America(미국)(이하"W.Q.A.")
W.Q.A.는 2022년 5월 24일 지분 100%로 설립되었으며, 미국 반도체 소재/장비부품 세정 및 코팅시장 진출을 위한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Deposition Technology(미국)(이하"DT.")
DT는 2023년 11월 WQA가 지분 100% 인수하였으며, 미국 반도체 주요 제조사에 소재 및 장비부품 세정용역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② 자회사의 영업실적(2023년)
(단위 : 천원)
|
자회사명
|
소재지
|
자산
|
부채
|
매출
|
영업이익
|
원익(서안)반도체과기
유한공사
|
중국
|
22,513,889
|
15,822,963
|
9,885,625
|
88,918
|
WONIK QnC America(*)
|
미국
|
17,695,506
|
1,145,402
|
-
|
-641,828
|
(*1)
|
Deposition Technology의 실적을 포함한 자료이며, 관련 실적은 23년 12월말 기준으로 반영되었습니다.
|
(*2)
|
상기금액은 내부거래 제거전 금액입니다.
|
[램프 부문]
(산업의 특성 등)
① Excimer EUV Lamp의 정의
200mm 이하의 진공자외선(Vacuum Ultra Violet)을 LCD/OLED Panel 제조공정에서 표면 유기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② 산업의 특성
반도체, LCD, OLED, 광학, 리드 프레임의 표면에는 여러가지 유기 불순물의 얇은 오염막이 붙어 있어 제품에 결정적으로 악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제거해야 합니다. 막두께가 수백Å이하의 유기오염 막은 세정용 Lamp 를 사용하면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반도체 프로세스의 응용을 위해 널리 연구되고 있습니다.
③ 산업의 성장성 및 경기변동의 특성
당사의 주력 분야인 LCD/OLED 표면세정용 EUV Lamp는 디스플레이 산업 변동에 따라 수요가 결정되며, 최근에는 새롭게 개발된 사각램프의 사용이 확대되면서 기존 제조공정에 사용되던 원형램프를 대체하고 있습니다. 한편 당사는 디스플레이 세정용 램프를 응용하여 2019년 임플란트 표면개질용 램프를 개발, 관련 시장에 진출하였으며, 코로나19로 인하여 관련 수요가 일시적으로 위축되었으나, 코로나 19관련 백신보급과 함께 잠재됐던 치과 수요가 늘어나면서 긍정적인 성장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시장여건 등)
현재 당사가 진입중인 Display Panel 세정용 EUV Lamp 시장은 특정업체가 독점을 하고 있는 상황이며, 이에 따라 주요 고객사들의 국산화 수요가 높은 상황입니다. 당사는 2019년에 고객사와 신제품에 대한 테스트를 진행하였고, 2020년 일부품목의 테스트 통과로 일부 납품을 시작하였습니다. 당사는 고객사의 국산화 수요에 맞춰 다양한 품목의 테스트를 고객사와 진행하여 매출을 확대할 전략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편 당사는 2018년 부터 임플란트 표면개질용 램프를 개발하였고, 우수한 품질을 인정받아 2019년 관련 시장에 안정적인 진입을 하였습니다. 24년에는 고객사 다양화 및 새로운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통한 매출증대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경쟁요소 등)
디스플레이 표면세정용 EUV Lamp는 표면의 유기물을 제거할 수 있는 강한 조사력과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수명이 핵심입니다. 당사는 대형 고객사와의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고, 지속적인 연구개발로 다수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산화 품목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1. 요약재무정보
가. 요약연결재무정보(K-IFRS)
(단위: 원)
|
구 분
|
제21기 기말
|
제20기 기말
|
제19기 기말
|
[유동자산]
|
367,920,377,161
|
351,908,541,684
|
245,698,455,772
|
·현금및현금성자산
|
58,545,799,824
|
74,886,361,406
|
68,082,612,443
|
·매출채권및기타채권
|
83,616,567,364
|
82,146,769,583
|
66,476,432,053
|
·재고자산
|
201,605,930,880
|
177,325,334,306
|
104,080,578,063
|
·기타유동자산
|
24,152,079,093
|
17,550,076,389
|
7,058,833,213
|
[비유동자산]
|
1,008,582,676,614
|
883,842,279,698
|
577,907,035,497
|
·유형자산
|
625,179,929,710
|
483,697,434,415
|
419,439,672,257
|
·무형자산
|
315,746,747,310
|
331,582,044,940
|
102,781,922,724
|
·기타비유동자산
|
67,655,999,594
|
68,562,800,343
|
55,685,440,515
|
자산총계
|
1,376,503,053,775
|
1,235,750,821,382
|
823,605,491,269
|
[유동부채]
|
335,725,953,377
|
241,956,732,269
|
175,395,417,016
|
[비유동부채]
|
531,172,461,018
|
523,885,936,871
|
268,415,115,606
|
부채총계
|
866,898,414,395
|
765,842,669,140
|
443,810,532,622
|
[지배기업소유지분]
|
407,567,737,436
|
375,559,790,073
|
307,702,070,652
|
·자본금
|
13,144,000,000
|
13,144,000,000
|
13,144,000,000
|
·자본잉여금
|
9,742,820,961
|
9,742,820,961
|
9,742,820,961
|
·이익잉여금
|
371,969,440,307
|
335,675,459,907
|
277,859,648,978
|
·기타자본항목
|
12,711,476,168
|
16,997,509,205
|
6,955,600,713
|
[비지배지분]
|
102,036,901,944
|
94,348,362,169
|
72,092,887,995
|
자본총계
|
509,604,639,380
|
469,908,152,242
|
379,794,958,647
|
부 채 및 자 본 총 계
|
1,376,503,053,775
|
1,235,750,821,382
|
823,605,491,269
|
연결에 포함된 회사수
|
16
|
16
|
12
|
(*)제20기 연결재무상태표의 경우 2022년 11월에 종속회사 MOMQ Holding Company가 인수한 일본의 Coorstek Nagasaki Corporation(현, Momentive Technologies Yamagata K.K.)의 영업권 평가가 당기중 완료되어 자산/부채 금액이 일부 변동되었으며, 관련 내용은 연결재무제표주석 '33. 사업결합 - 33.1. Momentive Technologies Yamagata K.K'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사업결합기준서상 본 내용은 재무제표 재작성 대상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
(단위: 원)
|
구 분
|
제21기
|
제20기
|
제19기
|
[매출액]
|
805,948,142,955
|
783,178,805,875
|
624,119,007,652
|
[영업이익]
|
82,983,414,760
|
115,127,050,949
|
86,750,053,571
|
[당기순이익]
|
50,998,911,602
|
58,239,208,581
|
62,504,561,771
|
- 지배기업 지분
|
38,149,287,195
|
53,835,001,883
|
58,752,841,691
|
- 비지배기업 지분
|
12,849,624,407
|
4,404,206,698
|
3,751,720,080
|
[총포괄이익]
|
43,639,687,138
|
95,235,739,603
|
82,208,096,037
|
- 지배기업 지분
|
35,951,147,363
|
73,194,761,298
|
69,271,273,048
|
- 비지배기업 지분
|
7,688,539,775
|
22,040,978,305
|
12,936,822,989
|
[기본주당순이익]
|
1,451
|
2,048
|
2,235
|
[희석주당순이익]
|
1,451
|
2,048
|
2,235
|
연결에 포함된 회사수
|
17
|
16
|
12
|
(*)당기중 매각한 "원익우시"의 매각전 실적을 포함한 금액입니다.
|
#원익QNC
#사업보고서
'한국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드디어 봄날 왔다" 개미들 환호…2700억 '뭉칫돈' 몰린 곳 (1) | 2024.03.18 |
---|---|
솔브레인 2023년 12월 사업보고서 (4) | 2024.03.18 |
SKC 2023년 12월 사업보고서~ (3) | 2024.03.18 |
다원시스 2023년 12월 사업보고서~~ (2) | 2024.03.18 |
NAVER 2023년 12월 사업보고서~ (0) | 2024.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