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1. 경제 정책
- 법인세 인하
- 법인세율을 35%에서 21%로 인하(2017년 감세 및 일자리 법안, Tax Cuts and Jobs Act).
- 기업들이 미국 내 투자와 고용을 늘릴 수 있도록 유도.
- 규제 완화
- 금융, 환경, 에너지 등 여러 산업에서 규제를 완화.
- 기업 활동 촉진 및 투자 유치 목적.
- 무역 정책
- 보호무역주의 강화:
- 중국, 유럽 등 주요 교역국과 무역전쟁.
- 중국산 제품에 고율 관세 부과(최대 25%).
- NAFTA 재협상 및 USMCA(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 체결.
- 철강 및 알루미늄 수입품에 대한 관세 부과.
2. 외교 정책
- "America First" 외교
- 미국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하는 독자적 외교 노선.
- 다자 협력보다 양자 협상을 선호.
- 중국 견제
- 중국과의 무역전쟁을 통해 미국의 무역적자 해소 및 기술 도둑질 문제 해결을 강조.
- 화웨이, 틱톡 등 중국 기업 제재.
- 북한과의 대화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세 차례 정상회담 개최.
- 한반도 비핵화 논의를 촉진했으나 구체적 성과는 미흡.
- 동맹국 방위비 증액 요구
- 한국, 일본, NATO 회원국 등에 방위비 분담금 증액 압박.
3. 에너지 정책
- 파리기후협정 탈퇴
- 2017년, 기후변화 협정에서 탈퇴 선언.
- 미국의 에너지 산업(특히 석탄, 석유) 보호 및 경제 활성화 주장.
- 화석연료 개발 장려
- 석탄, 원유, 천연가스 생산 확대.
- 연방 공공 토지 및 해양에서 에너지 채굴 허가 확대.
- 에너지 독립 선언
- 미국을 세계 최대의 에너지 생산국으로 만들기 위한 정책 추진.
4. 국방 및 안보 정책
- 국방비 증액
- 국방 예산 대폭 증가(2018년 국방 예산 7160억 달러).
- 군 현대화 및 기술 개발 투자 강화.
- 우주군 창설
- 2019년, 미국 우주군(Space Force) 창설.
- 우주에서의 군사적 우위를 유지하려는 목적.
- 이란 핵 합의 탈퇴
- 2018년, 이란 핵 합의(JCPOA)에서 탈퇴하고 이란에 강력한 경제 제재 부과.
5. 이민 정책
- 국경 장벽 건설
- 멕시코 국경에 장벽 건설을 핵심 공약으로 제시.
- 불법 이민 및 마약 밀수를 차단하기 위한 조치.
- 이민 제한 강화
- 이민자 및 난민 수용 제한.
- 특정 국가에 대해 입국 금지령 발동(무슬림 다수 국가 포함).
- DACA 폐지 시도
- 청소년 추방유예 프로그램(DACA) 종료를 추진했으나, 법원에서 제동.
6. 보건 정책
- 오바마케어(ACA) 폐지 시도
- "Affordable Care Act" 폐지 시도했으나, 완전 폐지는 실패.
- 일부 규정(개인 보험 의무화 벌금 등)은 철회.
- 약가 인하
- 처방약 가격 투명성 강화 및 약가 인하 조치 발표.
7. 기타 정책
- 형사사법 개혁
- First Step Act(2018년): 경범죄 수감자 조기 석방 및 교정 프로그램 확대.
- 기술 및 인프라 투자
- 대규모 인프라 투자 공약(도로, 교량, 공항 개선 등).
트럼프 정책의 평가
- 긍정적 평가:
- 경제 성장 촉진(특히 초기 법인세 인하 효과).
- 일자리 증가 및 증시 활성화.
- 국방력 강화.
- 부정적 평가:
- 무역전쟁으로 인한 글로벌 경제 긴장.
- 기후변화 및 환경 문제 소홀.
- 이민 정책으로 인한 사회적 갈등 증폭.

트럼프 정부의 주요 정책과 예상 주식 종목
정책 분야
|
주요 정책
|
관련 주식 종목
|
종목 코드
|
설명
|
세제 정책
|
- 법인세율을 35%에서 21%로 인하
- 기업 해외 수익 환류 유도
|
애플 (Apple)
|
AAPL
|
법인세 인하로 순이익 증가. 해외 보유 자금을 본국으로 환류하며 배당금 지급과 자사주 매입 증가.
|
마이크로소프트 (MSFT)
|
MSFT
|
세제 혜택으로 순이익 상승 및 클라우드 사업 확장 투자 가능성 증가.
|
||
JP모건 체이스 (JPM)
|
JPM
|
금융 업계에 세제 혜택이 반영되며 순이익 증가 및 배당 확대.
|
||
에너지 정책
|
- 파리기후협정 탈퇴
- 화석연료 개발 장려 (석탄, 원유, 천연가스)
- 에너지 인프라 개발 확대
|
엑슨모빌 (ExxonMobil)
|
XOM
|
화석연료 개발 장려로 석유 및 가스 사업 확장 가능성.
|
셰브론 (Chevron)
|
CVX
|
원유 및 가스 생산 증가로 수익 개선 기대.
|
||
할리버튼 (Halliburton)
|
HAL
|
유전 서비스 및 장비 제공 기업으로, 원유 개발 증가에 따른 수익 증가 예상.
|
||
국방 정책
|
- 국방비 대폭 증액
- 동맹국의 방위비 분담금 증가 압박
|
록히드마틴 (Lockheed Martin)
|
LMT
|
국방비 증가로 군사 장비, 항공기 및 방위 기술 수요 증가.
|
노스롭 그루먼 (Northrop Grumman)
|
NOC
|
방위 산업 전반의 기술 개발 및 수익 상승 가능성.
|
||
보잉 (Boeing)
|
BA
|
군용 항공기 및 방위 기술 개발로 수익 증가 예상.
|
||
인프라 정책
|
- 대규모 인프라 투자 공약
- 교량, 도로, 공항 등의 현대화
|
캐터필러 (Caterpillar)
|
CAT
|
건설 장비와 기계 제조 기업으로, 인프라 투자 확대의 직접적인 수혜.
|
유나이티드 렌탈스 (United Rentals)
|
URI
|
건설 장비 대여업체로, 인프라 프로젝트 증가에 따라 수요 증가 예상.
|
||
벌칸 머티리얼스 (Vulcan Materials)
|
VMC
|
건축 자재 공급업체로, 대규모 공공 인프라 프로젝트에서 수혜.
|
||
무역 정책
|
- 보호무역주의 강화
- 중국, 유럽과의 무역전쟁
- 관세 부과 및 재협상
|
테슬라 (Tesla)
|
TSLA
|
미국 내 제조를 확대하며 자국 중심 경제정책에서 수혜.
|
퀄컴 (Qualcomm)
|
QCOM
|
기술 중심 기업으로, 미국 내 반도체 생산 확대로 수익 증가 가능성.
|
||
보잉 (Boeing)
|
BA
|
보호무역으로 해외 경쟁사 압박 및 자국 항공기 제조업체의 이익 증가.
|
애플 (Apple)
- 법인세율을 35%에서 21%로 인하
- 기업 해외 수익 환류 유도

마이크로소프트 (MSFT)
- 법인세율을 35%에서 21%로 인하
- 기업 해외 수익 환류 유도

JP모건 체이스 (JPM)

엑슨모빌 (ExxonMobil)
- 파리기후협정 탈퇴
- 화석연료 개발 장려 (석탄, 원유, 천연가스)
- 에너지 인프라 개발 확대

셰브론 (Chevron)

할리버튼 (Halliburton)

퀄컴 (Qualcomm)
- 보호무역주의 강화
- 중국, 유럽과의 무역전쟁
- 관세 부과 및 재협상

캐터필러 (Caterpillar)
- 대규모 인프라 투자 공약
- 교량, 도로, 공항 등의 현대화

#트럼프
#정책
#관련
#주식
#종목
#퀄컴
#애플
#쉐브론
#엑슨모빌
#캐터필러
#cat
#미국정책
728x90
반응형
LIST
'미국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The Electricity Value Chain~ (0) | 2025.01.26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스타게이트(Stargate)' 정책 (0) | 2025.01.23 |
낸시 펠로시 하원위원은 주식의 신 (0) | 2025.01.23 |
JOBY (0) | 2024.05.31 |
샤프테크놀로지 인코퍼레이티드 - 5월 20일, 셔터스 유닛은 네프론과 시리즈의 계약 체결 (0) | 2024.05.28 |